내 집 마련을 고민할 때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 대출을 활용하면 보다 낮은 금리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대출 상품으로 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이 있는데요 두 대출 모두 주택 구입을 위한 것이지만 대상, 한도, 금리, 조건 등이 다릅니다 두 대출의 차이를 비교하며 어떤 대출이 나에게 더 적합한지 아래와 같이 알려드리오니 참고하시어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.
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의 기본 개념
- 디딤돌대출: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주택 구입 자금 대출로 낮은 금리를 제공하며 소득과 자산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
- 보금자리론: 중산층과 일반 가구를 위한 장기 고정금리 대출로 디딤돌대출보다 소득 기준이 완화되어 있고 대출 한도가 높습니다
디딤돌대출 vs 보금자리론 비교
대출 대상 | 무주택자 & 부부합산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(신혼부부 7000만 원 이하) | 무주택자 또는 기존 1주택 처분 조건 (부부합산 연소득 1억 원 이하) |
---|---|---|
대출 한도 | 최대 2억 5000만 원 | 최대 5억 원 |
금리 | 연 2.15%~3.00% (소득 및 대출 기간에 따라 다름) | 연 3.00%~4.00% (대출 시점 금리 적용) |
대출 기간 | 10~30년 | 10~40년 |
대상 주택 | 9억 원 이하 주택 | 9억 원 이하 주택 |
상환 방식 |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|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|
거주 조건 | 대출 후 1개월 내 실거주 필수 | 대출 후 1개월 내 실거주 필수 |
어떤 대출이 나에게 유리할까?
소득이 낮고 금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→ 디딤돌대출
디딤돌대출은 소득 기준이 엄격하지만 금리가 낮아 소득이 적은 서민층과 신혼부부에게 유리합니다 다만 대출 한도가 최대 2억 5000만 원으로 낮아 수도권에서 집을 구입하기에는 다소 부족할 수 있습니다
더 높은 대출 한도가 필요하다면 → 보금자리론
보금자리론은 최대 5억 원까지 대출이 가능하고 소득 기준이 더 완화되어 있어 디딤돌대출을 받기 어려운 경우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금리가 디딤돌대출보다 높은 편이므로 금리 부담을 고려해야 합니다
고정금리 안정성이 필요하다면 → 보금자리론
보금자리론은 대출 실행 시점의 금리가 만기까지 고정되기 때문에 금리 인상 걱정 없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대출을 원할 경우 적합합니다 반면 디딤돌대출은 변동금리 요소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
신혼부부라면? 두 가지 모두 가능
신혼부부라면 소득 기준이 7000만 원 이하라면 디딤돌대출이 더 저렴하고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도가 부족할 경우 보금자리론을 함께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
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을 함께 받을 수 있을까?
두 대출을 동시에 받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디딤돌대출이 부족한 경우 보금자리론으로 변경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, 대출 한도가 부족하면 디딤돌대출 대신 보금자리론을 이용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
결 론
디딤돌대출은 금리가 낮고 서민층에게 유리하며, 보금자리론은 대출 한도가 높고 장기 고정금리로 안정적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
소득이 낮고 저금리 대출을 원한다면 → 디딤돌대출
더 많은 대출이 필요하고 금리 변동 없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대출을 원한다면 → 보금자리론
자신의 소득, 대출 필요 금액, 금리 부담 등을 고려해 가장 적합한 대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